본문 바로가기

복지

2025년 7월 단통법 폐지 후 행동요령 꿀팁!

 

 단통법(‘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법’)이 2025년 7월 22일부로 폐지되었으며, 그에 따른 폐지 전후의 제도 변화와 소비자 혜택 비교는 아래와 같습니다.


📌 제도 변화 요약

폐지 전 (단통법 시행 시)

  • 공시지원금: 통신사별로 지원금 액수를 공시할 의무
  • 추가지원금 상한: 공시지원금의 최대 15%까지만 추가 지급 가능
  • 선택약정 25% 요금할인 선택 시: 추가지원금 수령 불가
  • 페이백·마이너스폰: 불법, 금지

폐지 후 (2025년 7월 22일 이후)

  • 공시 의무 폐지, ‘공통지원금’이라는 명칭으로 자율 지급 (공시 필수 아님)
  • 추가지원금 상한 전면 폐지 → 유통점이 자율적으로 높은 추가지원금 제공 가능
  • 선택약정 할인(최대 25%) 선택 시에도 유통점 추가지원금 수령 가능
  • 마이너스폰 및 페이백도 계약서에 명시되면 허용

💰 보조금 & 가격 변화 비교

통신사 지원금 (공시지원금) 고정, 공개 자율 결정, 공시 의무 없음
유통점 추가지원금 공시지원금의 15% 이하로 제한 상한 폐지 → 매우 높은 추가지원금 가능
선택약정 할인 + 지원금 중복 불가 중복 가능
마이너스폰/페이백 불법 계약 조건 명시 시 가능
실제 혜택 수준 일반적으로 제한적 개별 매장별로 상이, 소비자에 유리한 조건 등장 가능
 
  • 예: 갤럭시 Z 폴드 7/플립 7 모델은 번호이동 시 SKT 최대 50만 원, KT 11.5만~50만 원, LGU⁺ 최대 60만 원의 공통지원금이 적용되고, 여기에 유통점 추가지원금이 더해짐
  • 일부 매장에서는 기기값 이상 지원금 → ‘완전 무료폰’ 또는 현금 페이백 형태 (단, 고가 요금제 및 부가서비스 조건 부과) 

✅ 소비자 혜택 vs 유의사항

혜택

  • 경쟁 강화로 실질 할인가↓, 전국적으로 다양한 조건의 고액 추가지원금 등장 예상
  • 요금할인(선택약정) + 추가지원금 중복 가능 → 할인폭 확대

주의사항

  • 높은 지원금 뒤 요금제 조건 강제 또는 위약금 유도 가능 (예: 최소 6개월 고가 요금제 유지, 부가서비스 가입 등)
  • 요금제 하향 시 위약금 신설 → 계약서 조건 꼼꼼 확인 필요
  • 정보 취약 계층의 경우 혜택 밝기 어려움, 계약서 불완전 기재 등 피해 우려도 존재
  • 지원금 지급 주체, 방식, 조건 등을 계약서에 명시하도록 법으로 규정

📊 통신사별 혜택 비교 


SKT 자율 공시, 경쟁 유도 (예: Z 폴드7 약 50만 원 수준) 상한 폐지 → 최고 수십만 원, ‘마이너스폰’ 가능 가능 (요금할인 25% + 추가지원금 모두 수령)  번호이동 시 고액 혜택 집중, 위약금 면제조건의 전략적 마케팅도 있음 번호이동, 최신 프리미엄폰 사용자: 고가 요금제 유지 & 사은품 조건 유의
KT 자율 공시, SKT보다 다소 낮게 책정하지만 경쟁적 (예: Z 폴드7 50만 원 이상 가능) 상한 폐지 → 유통점마다 다양한 조건, 페이백 포함 가능  가능 가족 결합할인 강화, OTT·미디어 혜택 제공 강화 가족 결합형 요금제 선호자: 결합 할인 + 단말기 지원금 조합 유리
LG U 자율 공시, 경쟁 참여 (예: Z 폴드7 60만 원 수준)  상한 폐지 → 유통점 조건 따라 고액지급, 페이백 가능 (“마이너스폰” 사례 포함)  가능 구독형 서비스(음악·영상·독서 등) 결합 할인, 데이터 무제한 프로모션 데이터 중심·구독형 혜택 선호자: 중고가 요금제 유지 조건 주의하며 선택
 

📌 실제 지원금 사례 (베타 테스트 수준, 실제 조건은 매장별 다름)

  • 갤럭시 Z 플립 7 / 폴드 7
    • SKT: 요금제 조건 시 공통지원금 약 50만 원, 유통점 추가지원금 포함 시 현금 페이백 또는 마이너스폰 형태 제공 가능 
    • KT / LGU⁺: 유사 모델 기준 SKT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한 수준 지원금, 매장 경쟁력에 따라 수십만 원 추가 지급 가능

✅ 요금제 추천 포인트

최저 실구매가 확보 최신 프리미엄 단말기 + 번호이동 + 고가 요금제 조합 부가서비스 및 요금제 유지 기간 조건 반드시 확인, 위약금 가능성 점검
가족 단위 할인 활용 KT 가족 결합형 요금제 선택 (중가 이상) 결합 조건 유지 여부와 해지 시 환수 조건 확인
구독형 서비스 중점 LGU⁺ 데이터·구독 중심 요금제 서비스 부가조건 체크 및 서비스 해지 시 위약금 존재 여부 확인
단말기값보다 요금 중시 선택약정 25% 할인 요금제 중심 추가지원금 조건 없이 요금할인으로 단순하게 구성 가능
알뜰폰 선호자 MVNO 요금제 + 할부이자 지원 중심 활용 언급된 주요 통신사보다 단말기 지원금은 낮을 수 있음
 

🧭 팁: 구매 시 체크리스트

  1. 통신사 공식 홈페이지에서 공통지원금 확인
  2. 방문하려는 유통점에서 받는 추가지원금 조건(위약금, 요금제, 부가서비스 위주 등) 확인
  3. 할부원금(출고가 – 총지원금)을 직접 문의.
  4. 조건이 복잡하거나 어려우면, 할부원금 기준 가장 낮은 곳 선택 추천.
  5. 계약서에 명시된 조건(지원금 지급 주체, 요금제 유지 기간, 부가서비스 조건, 조기 해지 위약금 등)을 반드시 확인하고 보관

'복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애플페이 티머니 요약! 혜택 포함  (0) 2025.07.25
2025년 민생소비쿠폰 핵심정리!  (0) 2025.07.24